영화 서편제는 1993년에 개봉한 임권택 감독의 대한민국 뮤지컬 드라마 영화로써 오정혜라는 어마어마한 신인 소리꾼을 발견한 영화입니다. 태흥영화에서 제작하였으며 한국 영화계의 랜드마크로 꼽는 중요한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이청준의 단편 소설을 원작으로 김명곤이 각색하였으며 판소리라는 한국 전통 음악 예술 형식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목차
1. 영화 서편제 줄거리
2. 영화 서편제 등장인물
3. 영화 서편제 원작과의 차이점
4. 영화서편제를 본 내 느낌
1. 영화 서편제 줄거리
영화 서편제의 배경은 1960년 전라남도 보성군의 소릿재 입니다. 이 영화에 등장하는 청년 동호는 이복형제 누나 송화를 만나기 위해 보성의 소릿재에 있는 주막에 묵게 되고, 그곳에서 주인인세월네의판소리 한 대목을 들으며 회상에 잠기게 됩니다. 이 주막의 주인인세월네의동호의 요청에 따라 판소리 득음(得音)을 내게 되고 동호는 그 장단에 맞춰 직접 북을 치는데 이때 동호는 잠시 어린 시절을 생각하게 됩니다.
소리품을 팔기 위해 대갓집 잔치에 불려오게 된 소리꾼 유봉은 그곳에서 동호의 어미 금산 댁을 만나 자신이 함께 데리고 다니는 수양딸 송화와 함께 생활을 시작합니다. 동호와 송화는 오누이처럼지내지만낳던 금산 댁은 아기와 함께 죽음을 맞이합니다. 유봉은 수리품을 팔며 송화에는 소리를 가르치고, 동호에게는 북을 가르치며 둘을 키워나갑니다. 그리하여 둘은 하나는 소리꾼으로 하나는 고수로 자라나게됩니다. 나머지는등장인물을 통하여서 줄거리를 알아봅시다.
2. 영화 서편제 등장인물
영화 서편제 등장인물 - 유봉: 김명곤
유봉은 영화의 주인공이자 떠돌이 소리꾼입니다. 유봉은 정처 없이 각지를 방랑하며 동호, 송화와 함께 판소리를 부르고 있습니다. 나중에 동호가 판소리에 불만을 품고 떠나게 되자 송화에 눈을 멀게 하는 약을 먹여서 송화를 장님으로 만들었으며 몇 년 후 한 폐가에 머물면서 씨암탉을 훔쳐 송화에 먹이며, 닭 주인 영감에게는 닭털을 오리털이라고 속이고 씨암탉을 잡은 것이 발각되어 심한 매질을 당한 후 건강이 악화하여 죽었습니다. 세상을떠나기 전송화에 유언을 통해 자신이 송화의 눈을 멀게 했다고 고백합니다.
영화 서편제 등장인물 - 송화 : 오정혜
송화는 이 영화에 여주인공입니다. 일찍이 부모를 여의게 되면서 유봉의 손에서 자랐으며, 유봉으로부터 꾸준히 판소리를 익힌 후 판소리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갖게 됩니다. 송화는 유봉과 동호와 함께는여러 사람앞에서 판소리를 잘불렀지만 동호가떠나면서부터는 식음을 전폐하고 판소리를 하지 않아 유봉이 화를 많이 내기도 했습니다. 나중에 유봉이 몸을 보호한다는 약이라며 눈을 멀게 하는 약을 먹게 된 후 결국 완전히 장님이 됩니다. 유봉이 세상을 등진 후에도 소리를 계속해왔으며 마지막 부분에서 결국 이복동생인 동호와 판소리를 통해 다시 만나게 됩니다.
영화 서편제 등장인물 - 동호 : 김규철
동호는 이 영화에 남자 주인공입니다. 이복형제 누나인 송화를 찾기 위해 보성으로 내려왔으며 첫 부분에서세월네의소릿재 주막에 잠시 머물게 됩니다. 아버지 유봉으로부터 판소리를 배웠으나 청년이 되어 유봉과 판소리에 대한 불만을 품고 유봉과 싸운 뒤 결국 떠나게 됩니다. 나중에 서울로 올라간 후 지난날을 후회하며 누나 송화를 만나기 위해 보성 각지를 돌아다니다가 한 술집에서 판소리를 통해 송화와 극적 재회를 하게 됩니다.
3. 영화 서편제 원작과의 차이점
영화 서편제에서는 인물과 장면의 제시 방법을 장면과 영상을 통해 간접적으로 보여주었으며 언어 표현상으로도 차이가 있었습니다. 원작 소설에서는 인물과 장면 제시 방법을 원작자의 진술로 직접 제시하였습니다. 영화에서는 대사와 지문으로 표현하였고 소설에서는 원작자에 의한 산문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4. 영화 서편제를 본 내 느김
영화 서편제는 요즘과 같이 멀티플렉스 상영관이 아닌 1993년 단 관인 단성사에서 개봉하였습니다. 단성사에서 상영한 후 196일 동안 서울에서 1백만 관객을 동원하는 저력을 일어났습니다. 당시 단성사 측은 서편제가 상영하는 동안 서편제의 메인 간판의 변색을 칠한 적도 있다고 합니다. 한편 임권택 감독은 13년 후에 이후 이야기를 그린 속편영화이자 100번째 영화인 천년학을 제작하기도 했습니다. 서편제가 개봉하기 전에는 한이라는 정서가 부정적인 요소로 자리를매기고있었으나 서편제 개봉 후에는 한이라는 정서가 국가를 대표하는 정서적 자리를차지 하게 되었습니다. 이 영화의 폭발적인 흥행과 더불어 한이라는 소재가 오히려 시대적 대세로 폭넓게 부각되기 시작하며 우리가 알고 있던 해학은 조금 뒤늦은 입지를 차지하게 됩니다. 제가 학교에 다니던 시절이라 그 당시에 존재했던 문화영화 관람을 친구들과 같이 가서 함께 울며 웃으며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많은 학교에서 영화관으로 학생들이 단체 관람을 하러 갔던 영화입니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영화 역사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3.05.08 |
---|---|
영화란 무엇인가? (0) | 2023.04.14 |
댓글